며칠 전, 부모님이 자녀 사칭 보이스 피싱에 당할 뻔한 일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핸드폰 문자로 자녀라고 하면서 "핸드폰이 고장 나서 보험 처리를 해야 한다"며 계좌번호와 신분증 사진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다행히 부모님이 이상함을 느끼고 저에게 연락하셨고, 곧바로 보이스 피싱임을 확인하여 피해를 막을 수 있었습니다.

보이스 피싱 수법과 실제 경험
1. 사건의 시작
부모님께 "엄마(아빠), 나야. 핸드폰이 고장 나서 다른 폰으로 연락해."라는 문자가 왔습니다. 처음엔 의심 없이 믿으셨지만, 이후 "보험 처리를 위해 신분증과 계좌번호가 필요하다"는 요청이 오면서 상황이 급변했습니다. 보이스 피싱범은 부모님이 의심할 틈을 주지 않으려는 듯, 계속해서 급하게 요구하며 당황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부모님에게 계좌번호, 비밀번호, 신분증을 요구했고 부모님은 아무렇지 않게 모든 개인정보를 알려줬다고 했습니다.
- 계좌번호와 비밀번호: 돈을 빼가기 위해 요구
- 신분증: 핸드폰 개통과 카드론 대출을 위해서 요구


2. 빠른 대처가 피해를 막았다
부모님은 바로 저에게 전화를 하시지 않고 기다리시다가 이상함을 느끼고 전화하셨습니다. 바로 첫마디가"너 핸드폰은 잘 고쳤어?"였고 너무 당황해서 보이스피싱이라고 해도 믿지를 않으셨습니다. 정신을 차리시고 어찌하실지 모르실 때 부모님 핸드폰으로 돈이 이체됐다는 문자가 왔고 바로 카드사에 바로 전화해서 지급을 막았습니다. 다행히 큰돈이 입금되면 30분 정도 이체할 수 없어서 돈이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었습니다. 은행계좌와 카드계좌 정지는 아무것 한 군데 전화하면 모든 계좌를 막을 수 있습니다.
- 사용하는 은행에 전화하여 모든 계좌 지급정지: 한 곳에만 연락해도 모든 은행 계좌와 카드 계좌를 동결할 수 있습니다.
- 경찰(112)에 신고: 저는 멀리 떨어져 있었지만 경찰에 신고하자, 관할 경찰서에서 부모님을 직접 찾아가 악성 코드 제거 앱 설치 및 추가 피해 예방 조치를 도와주셨습니다. 경찰분들이 설치해주신 파일은 시티즌코난 어플입니다. 유사 어플과 혼동하시면 안됩니다.
- 신분증 도용 방지 조치: 보이스 피싱범이 신분증을 요구한 경우, 바로 정부24에서 주민등록증 분실 신고를 해야 합니다.
- 소액결제 및 대포통장 개설 여부 확인: 보이스 피싱범이 명의를 도용하여 대포통장을 개설하거나 소액결제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금융감독원(1332)과 이동통신사(114)에 신고하여 피해를 예방해야 합니다.
- 명의도용 방지를 위한 Msafer(명의도용방지서비스) 신청: 이동통신 3사 및 알뜰폰 개통 차단 신청을 통해 추가 피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보이스 피싱 피해 후 추가 조치
-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신용정보원에서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사기 계좌 신고 및 환급 신청: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118) 또는 금융감독원(1332)에 신고하여 피해 계좌를 추적하고 구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 악성코드 검사 및 공장 초기화: 보이스 피싱에 악성 앱이 사용된 경우, 핸드폰을 공장 초기화하고 악성 코드 탐지 앱을 사용하여 추가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이스 피싱 피해를 줄이는 방법
- 은행 및 카드사 대표 번호를 미리 저장: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은행 번호를 몰라 당황하는 일이 없도록 대비해야 합니다.
- 112 신고 우선: 상황이 애매할 경우, 직접 해결하려 하지 말고 112에 신고하면 경찰이 바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 의심되는 연락은 직접 확인: 자녀나 가족을 사칭하는 문자가 오면 반드시 기존에 저장된 번호로 직접 연락하여 사실을 확인하세요.
- 개인정보 보호: 신분증, 계좌번호, 공인인증서 정보는 절대 타인에게 제공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계좌 개설 및 소액결제 내역 주기적 확인: 금융결제원과 이동통신사에서 소액결제 차단 및 대포통장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세요.
결론
이번 경험을 통해 보이스 피싱은 누구나 당할 수 있으며, 빠른 대응이 피해를 막는 핵심 요소임을 깨달았습니다. 특히 멀리 떨어져 있는 부모님을 위해 112 신고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보이스 피싱범들은 다양한 수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평소에도 금융정보 보호 및 명의 도용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주변 가족과 지인들에게도 보이스 피싱 예방 방법을 알려, 피해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